7일 국회에서 열린 이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차녀 국적 문제에 대해 불찰이 있었다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대학 졸업후 부친이 매입한 해운대 땅에 대해서도 증여세 등이 문제가 된 것으로 드러나면 사과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에야 입장 자료를 내고 차녀가 미국 국적 포기 의사를 가지고 있어 한국 국적 취득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홍근 더민주 의원은 “그동안 의혹들에 대해 설명을 하지 않다가 청문회 당일 아침에야 입장을 낸 것은 의원들이 재검증할 시간을 주지 않기 위한 것이 아니냐”며 “차녀가 오늘에야 스스로 미국 국적 포기 의사를 표명하고 국적 회복을 추진하는 것도 장관이 되기 위한 무마용으로 볼 수밖에 없어 후보자 자질이 부족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도치 않게 자동으로 한국 국적을 상실했더라도 이 후보자가 차녀의 국적 회복 노력을 하지 않은 데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 후보자는 당시에 왜 국적회복 조치를 바로 하지 않았느냐는 윤재옥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는 “당시에는 조치를 할 만한 관심을 갖지 못했다”며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재정 더민주 의원은 “한국에서 태어난 장녀를 빼고는 차녀와 직계 등 3명이 모두 외국에서 살고 있는데 사회부총리로 서민의 삶을 이해하고 아픔을 함께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 후보자의 재산 취득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유기홍 더민주 의원은 “부산 해운데 토지를 후보자가 만 23세이던 1976년 장교 복무시 취득했는데 나중에 7억원에 판 것으로 돼 있다”며 “증여세는 냈느냐”고 따졌다.
이 후보자는 “아버님이 처리해 증여세를 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지 않았다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땅을 매도한 일부는 오피스텔을 구입하는 데 썼다”고 했다.
박홍근 의원은 “부동산 40억원대 부자인 후보자가 세금 납부를 연체하는 등 납세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서 투기성 재산 증식에만 관심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지적하자 이 후보자는 “서민들 애환을 고려 못해 송구스럽다”고 답하기도 했다.
유은혜 더민주 의원은 “군복무중에 대학원에 입학한 것으로 돼 있는데 후보자 부친이 병기학교장 출신 군인으로 국민들이 생각할 때 특혜로 볼 수도 있다”며 “군에서 누군가 편의를 봐줬다고 볼 수 있고 부동산 투기, 세금 탈루, 군 특혜 등 특혜에 익숙한 사람이 사회통합을 지향해야 하는 부총리로 서민의 삶을 보듬어 줄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따졌다.
유인태 더민주 의원은 “평을 들어보니 성실하다고 하지만 정치적 성향도 없는 사람이 어떻게 후보자가 됐는지 놀라더라”며 “교육부가 국정교과서, 누리과정 등 갈등사안이 첨예한데 전문성이 떨어져 눈치나 보는 부총리가 될까 우려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후보자는 누리과정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는 “시도교육감들과 만나 진정성 있게 논의하고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기재부, 복지부 등 관련 부처와 취임 후 논의를 거쳐 해결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역사교과서와 관련해서는 “적법 절차로 추진된 것으로 문제는 얼마나 교육적으로 중립 입장으로 균형잡힌 교과서를 만드느냐, 국정이라는 체제보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느냐가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