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정부의 남해 EEZ 골재추가채취 강행 추진과 지역어업인들의 강력한 골재채취 반대로 인한 대립과 갈등을 수차례 중재하고, 지역상생협의회를 통해 정부가 골재채취 주변해역에 대한 수산자원 조성과 지역어업인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 올해 8월 말까지 골재채취량을 당초(660만㎥)보다 340만㎥ 늘려 1000만㎥로 단기연장하는 것으로 상생협력방안을 이끌어 냈다.
그동안 정부는 남해안 EEZ에서 바닷모래 채취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악영향 등을 우려한 지역어업인들의 골재채취 중단 요구에도 국책사업과 국가 골재 수급을 위해 지난해 8월 말까지 4715만㎥를 채취한 바 있고, 2020년까지 5년간 연장하여 7075만㎥ 추가채취 계획을 세워 지역어업인들과 갈등을 빚어 왔다.
지난 2013년에는 도의 요구로 한국수자원공사가 골재채취에 따른 어업인 피해조사용역을 실시한 결과, 피해면적이 44.8㎢이나 어선어업 피해가 크지 않고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번 골재채취단지 추가변경에 따른 공유수면 점·사용료 및 어업인 지원 사업비가 확대될 경우, 연 111억원 정도로 주변해역 수산자원 조성과 지역수산업 발전 등 피해 어업인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신종우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바닷모래 채취 시 부유사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해양환경조사로 해양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토록 하고 지역상생협의회를 통해 논의된 어업인 지원이 조기에 확대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남해 EEZ 골재채취로 인한 갈등 해소로 지역어업인이 어업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