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 및 사기대출의혹(본보 1월 7일자 22면)이 채 해결되기도 전에 조합원이 현직 이사장에 대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혐의로 사법기관에 고발하는등 문제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계양경찰서는 오는 23일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계양신협조합원 A씨가 지난 18일 계양신협 이사장 H씨에 대해 ‘개인정보법’을 위반했다며 증거자료와 함께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고발장 내용에 따르면 며칠 전부터 H이사장 명의로 된 선거운동 목적의 문자(사진)가 조합원들 휴대폰에 전달되는가 하면 심지어 조합원에서 탈퇴한 사람들에게까지 무분별하게 문자가 수신되고 있다고 밝혔다.

고발장에 접수된 휴대폰 문자메시지 내용. [1]
고발장은 또 조합원 가입 시 임원 선거용으로는 개인정보가 사용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고, 신협 임원선거 규약에도 선거인명부를 교부할 수 없게 되어 있음에도 현직이며 이번 선거 입후자인 H이사장이 직권을 이용해 조합원의 개인정보를 자신의 선거에 유리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고발장은 지난해 10월 개인정보보호법위반으로 경찰에 불구속 입건된 충북 청주 B신협 이사장 김모씨와 지난해 12월 서울북부지법으로부터 개인정보가 저장된 파일을 조합장 선거운동에 활용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C농협조합장에 대한 사례, 지난해 9월 조합원과 회원들의 허락 없이 개인정보를 챙겨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등 불법선거운동을 한 울산지역 축협 조합장후보에 대해 집행유예를 선고한 울산지법의 사례 등을 보충증거로 제출했다.
이와 관련, 계양신협 관계자는 “H이사장이 계양신협에서 30년 이상 근무해 오면서 평소 자신이 관리해 오던 조합원들에게 최근 언론에 보도된 분식회계 및 사기대출 의혹에 대해 해명하는 것이었다”며 “경찰에 고발장이 접수된 만큼 선거 이후 경찰의 조사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선거를 이틀 앞둔 인천계양신협은 출마자와 조합원 간 내홍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보에 보도된 분식회계 부분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판단은 향후 1개월 후 최종결정을 내릴 예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