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다음달 21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에서 공개할 예정인 신제품 스마트폰 '갤럭시S7' 이미지 [사진=갤럭시S7삼성닷컴]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모바일월드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 2016’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며, 전작과 차별화된 삼성전자의 차세대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7’의 스펙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 21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16’ 개막 전야제에서 차세대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7과 S7 엣지를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2년간 ‘갤럭시S5’와 ‘갤럭시S6’도 줄곧 MWC에서 공개해 왔다.
이번에 출시되는 갤럭시S7의 관전 포인트로 방수방진 기능, 홍채인식 지원 등이 거론된다. 전작인 갤럭시S6와 비교했을 때 디자인 등 하드웨어 측면보다 소프트웨어 측면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게 주된 전망이다.
실제 CNET 등 외신은 갤럭시S7과 S7엣지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전 모델인 갤럭시S6와 같은 5.1인치(엣지는 5.5인치)일 것이라고 보도했다.
반면 방수방진, 배터리,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 대대적인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특히 방수방진 기능과 마이크로 SD 슬롯은 과거 갤럭시S5에는 적용됐지만, 전작인 갤럭시S6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현재 방수방진을 지원하는 것은 소니의 엑스페리아 시리즈뿐이다.
배터리는 일체형을 유지하면서도 기존보다 용량이 커졌다. 기존 2550mAh(S6)와 2600mAh(S6 엣지)에서 3000mAh(S7), 3600mAh(S7엣지)로 향상된다.
디스플레이에는 ‘올웨이즈-온(Always-on)’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이는 스크린 전부를 켜지 않고도 알람,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배터리는 절약할 수 있다.
또 삼성이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8890와 ‘스냅드래곤 820’ 프로세서가 병행 탑재되며, 4GB 램과 32GB 스토리지가 지원된다. 1200만 화소 브라이트셀 메인 카메라로, 갤럭시S6의 1600만 화소보다 화소 수는 줄었지만 조리개값이 기존 F1.9에서 F1.7로 낮아져 저조도 촬영에서 강점이 있다.
홍채인식 기능 탑재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홍채 인식은 기존 지문인식보다 인식률이 떨어져 사용자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반면, 삼성전자가 지난 2012년 5월 홍채 인식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한 것을 거론하며 탑재 가능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갤럭시S7과 S7엣지는 오는 3월에서 4월 중 국내 출시될 예정이이며, 가격은 전 모델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