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동대문경찰서에 따르면 통일부 산하의 '남북하나재단' 보조금을 가로챈 혐의(사기 등)로 김용화(63) 탈북난민인권연합 대표와 또다른 탈북민단체 대표 A(54·여)씨를 입건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김 대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남북하나재단이 탈북민을 지원하려고 지급한 보조금 1억3500만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탈북난민인권연합은 해외에 체류 중인 탈북민을 한국에 데려오는 '긴급구호사업' 등에 재단 보조금 1억1500만원을 지원받았지만 7500만원은 관련 사업에 쓰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탈북 여성의 임시 거처를 마련해주는 '여성쉼터사업'을 하겠다며 보조금 6000만원을 받았으나 이 사업은 전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김 대표가 보조금 일부를 빼돌려 자신의 집과 차량을 사는 데 쓰는 등 사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김 대표는 기부금품을 모집할 때 지방자치단체 등에 등록해야 함에도 등록하지 않은 혐의(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위반)도 받고 있다.
A씨는 이 단체에서 총무를 지내며 여성쉼터사업에 관여했고, 경찰은 여성쉼터사업의 책임을 물어 A씨를 함께 입건했다.
김 대표는 경찰 조사에서 "A씨가 모든 일을 꾸며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며 혐의를 일절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도 "재단 운영은 모두 A씨가 알아서 했기 때문에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에 대해 A씨는 "쉼터 사업은 김씨가 대표로 있는 단체에서 진행한 것인데 밑에 있는 직원이 무슨 책임을 지고 무슨 혐의를 질 수 있겠느냐"며 "김 대표가 보조금을 자신의 통장으로 받아 관리했으니 횡령은 전부 김 대표가 한 것이며, 나는 그의 지시에 따라 밑에서 일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탈북해서 중국과 베트남, 일본을 떠돌며 수차례 목숨 건 탈출과 밀항을 감행한 끝에 탈북 14년 만에 우리나라에 정착한 것으로 유명해진 인물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