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통화 긴축' 정책으로 국내 기업의 부채 구조조정에 효과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28일 박해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화정책을 통한 기업의 부채구조 건전화 가능성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박 연구위원은 "재무 상태가 취약한 기업에 부채가 편중된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기업 부채 구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며 "우리나라는 통화 정책 신용 채널의 작동을 위한 필요조건을 충족하고 있어 통화 긴축 시 국내 기업의 취약한 부채 구조조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연구위원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은행들이 기업대출 금리를 올려 대출 수요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은행의 대출금리 상승 시 이자비용 증가, 현금흐름 악화 등으로 기업의 재무상태가 악화된다"며 "은행은 재무 상태 건전 기업보다는 취약 기업에 더 높은 프리미엄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다만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할 점으로 꼽혔다.
그는 "통화긴축 시 총수요 위축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어 재정정책과의 조합을 통해 경기둔화 위험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