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CICA 외교장관회의 첫 참석?…27일 베이징서 개막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이달 말 중국, 러시아 외교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베이징에서 열리는 지역협의체 회의 참석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18일 전해졌다. (사진설명)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용산구 주한벨기에대사관을 방문해 벨기에 브뤼셀 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자폭테러 사건 관련 추모글을 쓰고 있다.[사진=외교부 홈페이지]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이달 말 중국, 러시아 외교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베이징에서 열리는 지역협의체 회의 참석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18일 전해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오는 27~28일 베이징에서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Asia) 외교장관 회의가 열린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러시아, 1992년 CICA 출범을 주도한 카자흐스탄을 비롯해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중앙아, 중동 등 24개국이 정식 회원국이다.

우리나라는 1993년부터 옵서버 자격으로 참여해오다 2006년 6월 당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카자흐스탄에서 열린 CICA 정상회의에 참석, 회원국 가입에 서명했다.

우리 정부가 CICA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후 2년마다 열리는 CICA 외교장관 회의에 장관급을 참석시킨 적은 한 번도 없으며, 2010년 신각수 외교통상부 제1차관, 2012년 김성한 외교통상부 제2차관 등 차관급이 수석대표로 참석해왔다.

4년마다 열리는 CICA 정상회의에도 우리 정상이 참석한 적은 없다. 2014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CICA 정상회의에도 외교부 장관이 아닌 이례적으로 당시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참석했다.

그동안 외교장관이 CICA 회의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은 한반도 신뢰구축 협조 등을 위해 우리 정부가 CICA에 가입은 했지만 중, 러 등이 참여하고 미국이 빠진 지역 협의체가 갖는 '안보적' 함의에 따르는 부담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일각에서 관측하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윤 장관은 이번 베이징에서의 CICA 외교장관 회의 참석 여부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CICA 외교장관 회의가 북핵, 대북 외교의 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회의의 의장국인 중국의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물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윤 장관이 이 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중국, 러시아 외교장관을 만나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2270호) 이행을 위한 공조를 재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