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규모의 액수는 국내 대기업의 1년 영업이익과 맞먹는 수치다. 현대중공업의 경영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의 지난해 품질 실패 비용은 6076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매출의 2.5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처음부터 원칙대로 작업하고 품질을 유지했으면 지출하지 않아도 될 비용이 대규모로 발생해 결과적으로 지난해 현대중공업에 1조5401억원의 영업 손실을 안긴 것이다.
현대중공업의 엔진과 전기전자, 건설장비 사업본부는 고객 인수 후 발생하는 클레임 비용이 주요 실패 비용 항목으로 파악됐다.
불량으로 폐기 처리되는 비용, 결함으로 생산이 중단되는 비용, 납기 미준수로 고객에게 지불하는 페널티 비용, 관리 잘못으로 인한 항공 운송 비용도 포함됐다.
이 가운데 항공 운송 비용은 지난해 179억원으로 전년 대비 83억원 줄었지만, 사용하지 않아 매각 처리한 자재의 구매 가격만 365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수주 실패 비용 등 드러나지 않은 품질 관련 비용까지 관리하는 등 다양한 개선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세금 문제도 있다.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는 지난해 4월 서울지방국세청으로부터 정기 세무 조사를 받았으며 최근 1200억원의 법인세를 내라는 통보를 받았다. 최근 일부 추징 세금만 내고 과세 전 적부심사와 더불어 조세 심판을 청구했으나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
아울러 검찰이 자재 대금을 빼돌리고 1000만원대의 축의금까지 챙긴 현대중공업 전 직원 3명과 협력업체 대표 1명 등 4명을 최근 구속기소하는 등 비리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