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분야 선정 결과다.
특히 식품분야는 'The Only One의 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BDAD (Before Dongseo After Dongseo) 프로그램' 운영으로 '산업분야별 교육과정 운영'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15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 사업은 인력 수요자인 산업계 입장에서 대학 교육을 평가함으로써 학생성과 및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 산학협력 프로그램 내실화 등 고등교육의 변화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평가는 △산업계 기반 교육과정 설계 △산업계 기반 교육과정 운영 △산업계 기반 교육과정 운영성과 등 3개영역에 대해 실시했다.
졸업생·재학생의 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와 기업체 부서장의 직원 직무역량 평가는 전문기관의 조사결과를 활용했다.
지난해 평가에서는 두산중공업, 엔씨소프트, MBC, 샘표식품 등 총 34개 기업의 임직원이 참여했고, 1703개 기업이 설문조사에 협조했다.
올해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는 금속, 게임, 미디어, 식품 분야 등 4개 분야 관련 학과가 설치된 대학 중 참여를 희망한 56개 대학 99개 학과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앞으로 교육부는 산업계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개선과 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평가결과의 현장 적용을 위한 산·학·관 소통 네트워크를 강화 할 예정이다.
또한 대학의 참여과정, 성과 등을 대학재정지원사업의 평가요소에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 경제5단체는 회원기업에 분야별 최우수대학 졸업생에 대한 취업인센티브 부여를 권고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