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경필 지사가 경기농정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남경필 경기지사가 2014년 기준 3900만원인 농가소득을 2020년까지 5천만원으로 끌어올려, 경기도를 농가소득 전국 1위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경기도는 10일 신텍스(화성시 소재)에서 남경필 지사를 비롯해 채인석 화성시장, 김유임 도의회 부의장과 원욱희 농정해양위원장, 임희철 한국농업경영인 경기도연합회장, 신희원 소비자시민의 모임 경기도지회 회장, 한기열 농협 경기지역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남 지사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생산위주의 농업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농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수 농수축산물 생산과 안정적 판로확보를 위한 원스톱 유통시스템을 구축해 2020년 농가소득 5천만원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으로 ‘건강한 먹거리, 행복한 소비로 농가소득 전국 1위’를 발표하고, 이를 위해 △안심먹거리 제공 △다팜(Farm) 플랫폼 구축 △농가소득 향상 등 3대 실천목표를 제시했다.
안심먹거리 제공을 위해 도는 친환경 농수축산물 공급을 지난해 기준 21만5천톤에서 2020년까지 43만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에 도는 친환경 청정마을 4개소와 친환경농산물연구센터 1개소 클린농업벨트단지 36개소를 추가 조성해 생산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농산물 판로확보를 위한 다팜(모든 농산물을 다 팔아준다는 의미) 플랫폼 구축을 위해서, 쌀과 기타곡물 인삼 채소류재배 면적을 현재 5만2천ha에서 2020년까지 40% 높인 7만3천ha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한 계약재배 확대가 안정적 판로로 연결돼 농가소득을 보장할 수 있다는 판단아래 농식품 수출, 외식기업과의 상생협력, 공공기관 공공급식 납품, 복지관 무료급식, 로컬푸드 등과 계약재배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농가소득 5천만원 달성응 위해서 농식품 분야에 전문화된 창업지원 전초기지로 애그로(Agro) 스타트업캠퍼스를 운영,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 다양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할 방침이다. 도는 애그로 스타트업 캠퍼스를 통해 2020년까지 20개의 기술기반 농식품 벤처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도는 귀농이나 농업분야 창업자를 대상으로 땅을 빌려주는 공공임대농장인 랜드 셰어링(Land Sharing)을 조성해 공유경제에 기반한 영농체험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도는 이들이 본격적인 귀농이나 농업분야 창업을 원할 경우 금융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할 계획이다.
남 지사는 "농부가 씨 뿌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듯이 경기농업도 새로운 미래를 위해 씨앗을 뿌릴 때"라며 “중국농업은 가격경쟁력에서, 일본농업은 기술력을 앞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이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대한민국 농업의 스탠더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남 지사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생산위주의 농업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농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수 농수축산물 생산과 안정적 판로확보를 위한 원스톱 유통시스템을 구축해 2020년 농가소득 5천만원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안심먹거리 제공을 위해 도는 친환경 농수축산물 공급을 지난해 기준 21만5천톤에서 2020년까지 43만톤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에 도는 친환경 청정마을 4개소와 친환경농산물연구센터 1개소 클린농업벨트단지 36개소를 추가 조성해 생산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농산물 판로확보를 위한 다팜(모든 농산물을 다 팔아준다는 의미) 플랫폼 구축을 위해서, 쌀과 기타곡물 인삼 채소류재배 면적을 현재 5만2천ha에서 2020년까지 40% 높인 7만3천ha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한 계약재배 확대가 안정적 판로로 연결돼 농가소득을 보장할 수 있다는 판단아래 농식품 수출, 외식기업과의 상생협력, 공공기관 공공급식 납품, 복지관 무료급식, 로컬푸드 등과 계약재배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농가소득 5천만원 달성응 위해서 농식품 분야에 전문화된 창업지원 전초기지로 애그로(Agro) 스타트업캠퍼스를 운영,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 다양한 관련 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할 방침이다. 도는 애그로 스타트업 캠퍼스를 통해 2020년까지 20개의 기술기반 농식품 벤처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도는 귀농이나 농업분야 창업자를 대상으로 땅을 빌려주는 공공임대농장인 랜드 셰어링(Land Sharing)을 조성해 공유경제에 기반한 영농체험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도는 이들이 본격적인 귀농이나 농업분야 창업을 원할 경우 금융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할 계획이다.
남 지사는 "농부가 씨 뿌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듯이 경기농업도 새로운 미래를 위해 씨앗을 뿌릴 때"라며 “중국농업은 가격경쟁력에서, 일본농업은 기술력을 앞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넥스트 경기농정 비전이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대한민국 농업의 스탠더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