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포스코가 지난해 세계 조강 생산량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조강은 고로(용광로)에서 제조돼 가공되지 않은 강철로 쇳물을 말한다.
31일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포스코의 조강 생산량은 4197만t으로 2014년 5위에서 한 단계 올랐다.
포스코는 2011년 4위를 차지한 이후 3년 연속 5위에 머무르다가 지난해 4위로 다시 올라섰다.
2014년 생산량인 4159만t과 비교하면 지난해 물량이 별로 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14년 4위였던 중국 바오스틸의 생산량이 크게 줄면서 순위가 올랐다.
바오스틸의 2014년 생산량은 4335만t이었으나 지난해에는 3494만t으로 줄어들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2048만t의 조강 생산량을 기록해 13위에 올랐다.
세계 최대 철강회사인 아르셀로미탈이 9714만t으로 1위를 지켰고 2014년 3위였던 중국 허베이철강은 지난해 4775만t으로 2위로 올라왔다.
일본의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은 2014년 2위에서 지난해 3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생산량은 4637만t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세계 조강 생산량은 16억2100만t으로 2014년 16억7000만t보다 2.9% 줄었다.
중국의 생산량이 8억380만t으로 세계 전체 물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생산량 규모 자체는 2014년 8억2280만t보다 줄었다.
일본(1억520만t)과 인도(8940만t)가 지난해 순위에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6970만t으로 6위에 올랐다. 2014년 5위(7150만t)에서 한 단계 내려앉았다.
31일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포스코의 조강 생산량은 4197만t으로 2014년 5위에서 한 단계 올랐다.
포스코는 2011년 4위를 차지한 이후 3년 연속 5위에 머무르다가 지난해 4위로 다시 올라섰다.
2014년 생산량인 4159만t과 비교하면 지난해 물량이 별로 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14년 4위였던 중국 바오스틸의 생산량이 크게 줄면서 순위가 올랐다.
세계 최대 철강회사인 아르셀로미탈이 9714만t으로 1위를 지켰고 2014년 3위였던 중국 허베이철강은 지난해 4775만t으로 2위로 올라왔다.
일본의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은 2014년 2위에서 지난해 3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생산량은 4637만t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세계 조강 생산량은 16억2100만t으로 2014년 16억7000만t보다 2.9% 줄었다.
중국의 생산량이 8억380만t으로 세계 전체 물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생산량 규모 자체는 2014년 8억2280만t보다 줄었다.
일본(1억520만t)과 인도(8940만t)가 지난해 순위에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6970만t으로 6위에 올랐다. 2014년 5위(7150만t)에서 한 단계 내려앉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