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브렉시트 등 대외 리스크 대응 방침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시장불안이 진정될 때까지 관계기관 합동점검반을 가동해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 한다.
합동점검반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한국은행, 산업통상자원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간 점검해온 비상대응계획(컨티전시 플랜)에 따라 적시성 있게 외환·금융 시장 안정 조치도 시행된다.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조정), 외화 유동성 공급 등 외환 및 외화자금시장 안정조치를 적기에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금융사의 외화유동성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여건이 악화될 경우 은행 등의 선제적인 외화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며 G20, 한·중·일, 국제금융기구 등과의 국제공조를 통해 시장 불안심리를 적극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부문 변동성이 실물부문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수출·원자재 수급 등 현장상황 점검·대응도 이뤄진다.
외환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외화유동성 규제를 정비하고 국제 금융시장 여건에 따라 거시건전성 제도를 탄력적으로 운용한다.
이를 위해 은행 대상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LiquidityCoverageRati)을 규제로 도입하고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규제를 폐지하는 등 외화유동성 규제체계를 재정비한다.
또한 다음 달 1일부터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국내은행은 30→40%, 외은지점은 150→200%로 확대하는 등 한도를 조정하고 외환건전성부담금 요율의 일시적 하향조정 근거 마련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