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북부청제공]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소비자정보센터가 2016년도 상반기 소비자상담 건수 9,011건을 품목별로 분석한 결과, ▲의류·신변용품이 1,206건(13.4%)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전화, 이동통신, 인터넷서비스 등의 ‘정보통신서비스’ 868건(9.6%), ▲여행, 숙박, 회원권 등의 ‘문화·오락 서비스’ 841건(9.3%), ▲정보통신기기 598건(6.6%), ▲토지․건물․설비 382건(4.2%)의 순으로 접수됐다.
올 상반기 전체 소비자상담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 9,135건에 비해 124건(1.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담이유별 현황으로는 ▲계약해제 및 청약철회를 요구하는 상담이 2,556건(28.4%)으로 가장 많았다.
또, ▲품질 및 A/S 상담이 2,278건(25.3%), ▲분쟁해결기준이나 법규 등의 문의가 1,964(21.8%), ▲계약불이행으로 인한 상담이 888건(9.9%), ▲사업자 부당행위 관련 문의가 536건(5.9%)으로 나타났다.
또, 판매 유형별로는 ▲일반판매 4,756건(52.8%), ▲전자상거래, 방문판매 등 특수판매 2,955건(32.8%)이었으며, ▲자료문의 등이 1,300건(14.4%)으로 파악됐다. 특히, 특수판매 중에는 전자상거래가 1,663건(18.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상담처리결과는 총 9,011건 중 ▲규정 및 제도설명, 보상기준설명, 해약요건 설명, 피해구제 접수안내 등 ‘정보제공’이 6,595건(73.2%)으로 대부분이었고, ▲계약해제·해지, 환급, 교환, 배상, 수리, 시정 등 사업자와의 중재를 통한 ‘피해처리’는 2,416건(26.8%) 이었다.
권금섭 경기도 공정경제과장은 “최근 인터넷 및 모바일을 통한 거래가 급증하고 가습기살균제, 정수기, 자동차워셔액 등 소비자의 안전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소비자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소비자정보센터가 경기도민에게 다양한 소비자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피해를 구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 4월 ‘소비자권익활성화 민관 거버넌스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경기도사기예방센터를 출범, 전화금융 및 대출 등 사기피해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민관 협업사업으로 소비자단체 리더양성교육 및 정책포럼, 계층별교육, 어린이 경제뮤지컬 교육 등 도민들의 소비자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