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DB]
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농협·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7월 말 기준 367조51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363조314억원)보다 4조2018억원 증가한 수치다.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6월(4조84억원)을 2000억원가량 웃도는 수준으로, 관련 통계를 알 수 있는 2010년 이후 7월 증가분으로 최대치다.
정부가 대출 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지난 5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지만 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는 최근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신규 대출이 덩달아 급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아파트 거래 건수는 1만4031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6년 정부가 거래량을 조사한 이래로 7월 기준 역대 가장 큰 규모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강세로 재건축이 현재 진행 중인 단지는 물론 앞으로 사업 추진이 예상되는 단지에도 투자용 수요가 몰린 것이 거래량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중도금 대출을 포함한 집단대출도 7월 주택담보대출 급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상 아파트를 분양받는 사람은 전체 매매대금의 60~70%를 2년여에 걸쳐 중도금으로 분할 납부하기 때문에 신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아도 집단대출이 자동으로 늘어나는 부분이 있다.
여기에 시장 금리가 내려가고 있는 점도 대출 증가세를 이끌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역할을 하는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6월 기준 1.44%로 5월(1.54%)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