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음부도로 줄도산 위험"... 中企 70% 어음제도 폐지 원해 <중기중앙회 조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02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어음제도 폐지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즉시 폐지보다는 단계적 폐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 이하 중기중앙회)가 어음거래를 하는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4~21일 '어음제도 폐지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조사' 를 실시한 결과, 어음제도 개선방향에 대해서 ‘폐지’에 찬성한 중소기업은 73.0%로 ‘현행
유지’(27.0%) 응답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시 폐지(18.6%)보다는 단계적 폐지(54.4%)를 선호했다.

어음제도 폐지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결제기일 장기화로 인한 자금운영 애로’ (78.1%), ‘어음부도로 인한 자금 미회수’(58.1%), ‘할인수수료 비용과다’ (26.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어음제도 폐지에 반대하는 이유(현행 유지)로는 ‘기업 간 상거래 위축우려’ (40.7%), ‘관행적 거래형태’(20.0%), ‘어음할인 등을 통한 적기자금조달 곤란’ (19.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최근 1년간 수취한 판매대금 중 현금결제비중은 56.0%, 어음결제비중이 34.2%를 차지해 아직도 어음을 수취하는 중소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대금으로 수취한 어음 활용방법은 ‘만기일까지 소지’(64.6%)가 가장 많았으며 ‘은행할인’(40.2%), ‘구매대금 등 지급수단으로 유통’(38.6%)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등 어음대체제도를 이용한 판매대금 회수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이 66.0%로 여전히 어음대체제도 활용 비율이 저조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84.4%)이 무분별한 어음 발행 방지를 위하여 발행인의 매출액 등을 고려, 어음발행한도를 설정하는 것에 찬성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아직도 많은 중소기업들이 어음부도로 인한 줄도산 위험, 결제기일 장기화로 인한 자금운영 애로 등 어음의 폐단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며 “어음발행한도 설정 및 어음대체제도 활용이 활성화되어 장기적으로 어음을 폐지, 중소기업에 공정한 금융시장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