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인증 사용자는 성명과 전화번호 입력 후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6자리 PIN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본인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최초 1회에 한해 T인증 앱에 성명,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와 PIN번호를 등록하면 된다. 또 PIN번호 대신 지문 인식으로 인증하는 방식도 10월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본인확인을 위해 성명·성별·내외국인·생년월일·전화번호·보안문자 등을 입력하고, 문자(SMS)로 인증번호를 수신해 평균 75초가 소요됐으나, T인증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성명·전화번호와 PIN번호로 단축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T인증으로 보안 수준도 대폭 강화된다. 매번 입력하던 여러 개인정보를 성명과 전화번호로 단순화시켰으며, 인증번호 SMS를 없애 SMS 탈취에 의한 스미싱, 피싱 사고를 원천 차단했다.
SK텔레콤은 T인증이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를 대신하는 보안성을 갖춤에 따라 금융거래 인증 등 다양한 영역으로 T인증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 폐지, 보안매체 분리 등 핀테크 관련 규제 완화에 따라 금융기관도 인증 서비스의 외부 오픈을 추진 중이어서 T인증의 활용처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향후 생체인증 등의 인증 기술을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일상생활의 모든 인증을 대신하는 플랫폼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 허일규 솔루션사업본부장은 “향후 T인증이 안전한 모바일 신분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보안기술을 확보하고 금융, 결제, OTT 등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