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교수협의회는 11일 “이화여대에서 시작된 반발이 일파만파로 번져가고 있는 가운데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이화여대와 별 다를 바 없음을 확인했으며 평단사업의 즉각적인 취소와 책임자에 대한 엄중 문책을 촉구한다”며 “진정으로 평생교육을 내실화할 수 있는 교육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국대 교수협은 “전임교수도 없고 아직 커리큘럼조차 없는 상태에서 2달만에 신입생 선발을 마치겠다는 식의 졸속 행정으로 어찌 제대로 교육이 되겠는가. 선취업학생들은 이런 열악한 상태에서 교육받아도 좋다는 것인가”라며 “그러니 '학위장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기까지 하다”고 지적했다.
교수협은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조기퇴직이 급증하는 시대에 평생교육이란 매우 중요한 사회적 과제임에 분명하지만, 이런 식으로 졸속 추진된다면 사업의 취지를 퇴색시키고 말 것임이 분명하며 차라리 기존에 있는 평생교육원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평단사업에 대한 반발사태의 근본적인 책임은 교육부에 있는 가운데 사업 추가모집은 신청부터 접수마감까지 4주일에 불과했고 단과대학 하나를 한 달 안에 뚝딱 만들어내면 30억 원을 주겠다는 식으로 국민의 혈세를 이같은 반교육적인 사업에 낭비하는 것은 공무원으로서 직무유기에 해당하고 서류와 면접만으로 선발할 경우 만에 하나라도 입시부정의 가능성까지 없다고 누가 보장하겠느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교수협은 또 “이번 정책 결정 과정은 현재의 대학본부가 얼마나 독선과 불통에 매몰돼 있는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며 “이미 논문 표절 문제로 도덕성이 실추된 현 총장 보광스님은 총학생회 대표 4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으며, 교수협의회장을 해임하고 교수협의회 회비 이체를 거부하는 등 반교육적이고 억압적인 조치로 지난 2년간 대학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고 최근에는 '표절총장'에 반대해 50일 간 목숨을 건 단식을 했던 김건중 전 부총학생회장에게 무기정학을 내리는 적반하장의 보복징계까지 서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교수협은 “평단 사업을 위한 학칙개정안은 이미 대학평의원회의 심의를 거쳤고 평의원회에 교수협 대표 2인도 참여했지만 평단 사업 선정이 이미 확정된 뒤에, 다른 30여개의 학칙개정안과 함께, 회의 하루 전에야 단 한 문장으로 된 매우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받은 상태였을 뿐이었다”며 “충분한 정보가 주어진 지금 평의원회를 열었더라면 교수 대표들은 졸속추진과 불통행정이라는 점에서 반대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국대 총학생회는 10일부터 13일까지의 일정으로 본관 앞에서 만민공동회를 열어 구성원들의 총의를 모으기 위한 철야농성에 돌입해 있다.
교수협은 총장 보광스님이 대학의 명예와 위상을 이처럼 추락시킨 것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모든 것을 내려놓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