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란다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태양광 미니발전소 우리집 전기요금 절감 효과.'
서울시는 총 1만2921가구의 시민들이 아파트 베란다나 주택 옥상에 태양광 미니발전소 20MW를 설치해 친환경 햇빛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소비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베란다형은 2014년 1777가구에서 작년 3258가구가 설치를 마쳐 1년동안 283%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까지 2141가구에 신규 공급돼 전년도 실적을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예컨대 월 500kWh 소비 가구가 주택형 태양광(3kW)을 설치하면 월 10만4670원이 절감된다. 한 달 304kWh 전력을 쓰는 가정이 260W 베란다형 태양광 마련으로 월 8320원을 아낄 수 있다.
전체 설치비 중 시가 보조하는 금액은 베란다형 30만원(200W)~85만원(1kW 미만), 주택형 210만원(3kW)이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 내 태양광 미니발전소를 공동으로 마련할 경우 10~19가구 5만원씩, 20가구 이상 10만원씩 인센티브가 각각 지급된다.
서울시는 태양광 미니발전소가 더욱 안전하게 가동되도록 보급업체에 설치 후 5년 간 무상 A/S(사후서비스)를 제공토록 했다. 사후점검도 1년에 1회 이상으로 의무화했다. 다만 보급업체의 폐업 등 A/S 제공이 곤란한 땐 시가 이를 전담하거나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설비 고장접수 지원센터'와 연계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유재룡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태양광 미니발전소는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에 따른 부담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스스로 청정에너지 생산을 가능케 한다"며 "향후에도 더 많은 시민들이 에너지 생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