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강령 전문에 '노동자'라는 단어를 원안대로 넣기로 결정했다. '노동자' 문구를 삭제하면서 촉발된 당내 갈등은 이로써 수습되는 모양새다.
민홍철 전당대회준비위원회 강령정책분과위 위원장은 17일 기자들과 만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논의한 결과 (당 강령 전문에) '노동자와 농어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전체적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됐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문구도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분과위는 '노동자와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한 노력을 존중한다'는 문구에서 '노동자'를 삭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우클릭' 기조가 대폭 반영됐다는 논란이 당 안팎에서 일었다. 특히 김상곤·이종걸·추미애(기호순) 후보 등 차기 당권 주자들이 "당 정체성 훼손"이라며 일제히 반발하고 나서 파장이 커졌다.
그러자 분과위와 당 지도부는 진화에 나섰다.
민 위원장은 이날 "노동자가 시민에 포함돼 있어 자구 수정 차원에서 ('노동자'를 삭제)한 것이지 정체성을 후퇴시킨다는 의도가 아니었다"며 "강령에 '우리는 민주정부 10년의 정치·경제·사회 개혁과 남북 화해협력 성과를 계승하되 반성과 성찰로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다'는 부분을 추가해 오히려 정체성 부분은 강화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분과위가 강령 개정을 위해 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에게 의견을 달라고 메일을 보내고, 토론회를 여는 등 내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으나 그간 별다른 의견이 제기되지 않았다는 점도 재차 설명했다.
분과위는 이날 비대위에 원안을 그대로 살리는 안을 가져왔지만, 비대위 논의 과정에서 노동자 외에 '농어민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이라는 구절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 우상호 원내대표와 변재일 정책위의장이 이 같은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했고 이의 없이 처리됐다.
이재경 더민주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이 전통적으로 서민과 중산층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분들이 노동자와 농어민, 소상공인이라고 봐서 이 문구를 (전문에)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또 "당 지도부의 의견을 분과위에 반영하게 했다거나 지침을 준 게 없다. 김 대표는 왜 이런 논란에 당 지도부가 연관되는지 알 수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이날 비대위에서 "강령이란 게 포괄적이고 큰 틀에서 규정하는 성격이 있는데 더군다나 전문에 모든 계층을 다 언급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초안 수정을 탐탁지 않게 여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비대위에서 통과된 강령 개정안은 19일 당무위원회를 거쳐 8·27전당대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민홍철 전당대회준비위원회 강령정책분과위 위원장은 17일 기자들과 만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논의한 결과 (당 강령 전문에) '노동자와 농어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전체적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됐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문구도 삭제하지 않고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분과위는 '노동자와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한 노력을 존중한다'는 문구에서 '노동자'를 삭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우클릭' 기조가 대폭 반영됐다는 논란이 당 안팎에서 일었다. 특히 김상곤·이종걸·추미애(기호순) 후보 등 차기 당권 주자들이 "당 정체성 훼손"이라며 일제히 반발하고 나서 파장이 커졌다.
민 위원장은 이날 "노동자가 시민에 포함돼 있어 자구 수정 차원에서 ('노동자'를 삭제)한 것이지 정체성을 후퇴시킨다는 의도가 아니었다"며 "강령에 '우리는 민주정부 10년의 정치·경제·사회 개혁과 남북 화해협력 성과를 계승하되 반성과 성찰로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다'는 부분을 추가해 오히려 정체성 부분은 강화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분과위가 강령 개정을 위해 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에게 의견을 달라고 메일을 보내고, 토론회를 여는 등 내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으나 그간 별다른 의견이 제기되지 않았다는 점도 재차 설명했다.
분과위는 이날 비대위에 원안을 그대로 살리는 안을 가져왔지만, 비대위 논의 과정에서 노동자 외에 '농어민과 소상공인 등 서민과 중산층'이라는 구절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 우상호 원내대표와 변재일 정책위의장이 이 같은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했고 이의 없이 처리됐다.
이재경 더민주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이 전통적으로 서민과 중산층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분들이 노동자와 농어민, 소상공인이라고 봐서 이 문구를 (전문에)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또 "당 지도부의 의견을 분과위에 반영하게 했다거나 지침을 준 게 없다. 김 대표는 왜 이런 논란에 당 지도부가 연관되는지 알 수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이날 비대위에서 "강령이란 게 포괄적이고 큰 틀에서 규정하는 성격이 있는데 더군다나 전문에 모든 계층을 다 언급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초안 수정을 탐탁지 않게 여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비대위에서 통과된 강령 개정안은 19일 당무위원회를 거쳐 8·27전당대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