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서울 여의도 한 은행에 오는 23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의 파업을 알리는 대자보가 붙어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오는 23일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은행 창구에서 업무를 봐야하는 고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노조 측 주장대로 10만명에 달하는 은행원이 실제 파업에 참가할 경우 업무 공백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23일 총파업이 실시되면 파업 당일 일부 영업점에서는 업무 처리가 지연되는 등 고객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14년 총파업 때는 참여율이 저조해 대부분 영업점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면서 소비자 불편이 없었다. 실제 파업 참가율은 평균 10% 수준이었고, 특히 시중은행의 참여율은 이보다 낮았다. 당시 파업은 금융공기업 정상화, 낙하산 인사 문제 등 관치금융 철폐가 목표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은행원들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임금 체계 문제이기 때문에 참여율이 더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노조는 이번 파업에 10만명이 모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의 모든 영업이 사실상 마비되고, 고객들의 은행 이용도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IBK기업·NH농협은행 등을 포함한 34개 금융노조 지부는 총파업이 진행되는 하루 동안 정상 업무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의 대고객 안내문을 이미 은행 영업점에 게시한 상태다.
현재 영업점에서는 일부 직원만 파업에 참여해도 일손이 부족, 업무 차질이 불가피한 상태다. 부장·팀장급 등 노조에 속하지 않은 관리자급이 창구 업무를 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입·출금 등 일반적인 업무는 가능하지만 신규 대출, 만기 연장, 펀드 가입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업무는 처리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직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기 인원이 몰리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업무를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펀드·방카슈랑스의 경우 자격증이 있어야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점포에서는 공백이 생길 공산이 크다.
이같은 피해가 예상되자 시중은행들은 추석 연휴 이전부터 대비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아울러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가동하며 고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KEB하나은행 등은 각각 '컨틴전시 플랜'을 준비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업무는 가능하면 총파업 이전이나 이후에 처리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력이 부족한 영업점에 대해서는 인근 영업점과 그룹으로 묶어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파업에 참여하는 직원이 많은 점포의 경우 대기 인원이 많아 업무 처리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로 인해 고객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역시 오는 21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시중은행장 및 국책은행장 등과 점검 회의를 열고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을 당부할 예정이다.

[사진=금융노조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