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AP]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가 2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은 가능한 한 빨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한국에 배치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미-일-한 3각 협력'이란 주제로 진행된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에 출석한 대니얼은 내년까지 사드가 한국에 배치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북한의 미사일 시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고려하면 사드의 배치 속도도 높일 수 있으며 가능한 한 빨리라고 말할 수 있다"고 답했다.
다만 배치 일정과 관련해서는 정확한 시기를 답변할 수는 없는 위치라고 답했다. 러셀 차관보는 또 사드사 중국이 아닌 북한을 겨냥한 방어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억지력과 방어력은 미국의 전반적인 대북한 전략의 핵심"이라며, "그것은 한편으로는 외교, 다른 한편으로는 강력한 압박과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러셀 차관보는 모두 발언을 통해 한·미·일 3국은 석탄 수출과 북한 근로자들이 국외 노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을 포함해 북한 정권의 불법적인 핵·탄도미사일 개발을 위한 수입원 차단에 주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 미국, 일본 3국은 북한이 진지한 비핵화 협상으로 되돌아오고, 국제적 의무와 약속을 지킬 때까지 북한에 계속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무모한 도발은 더 강한 반격을 낳을 뿐이며 국제적 고립이 심해질뿐이라는 것을 김정은 정권에 인식시키고자 3국은 노력하고 있다고"고 강조했다.
러셀 차관보 또 "우리(미국)의 방어체계 기능향상의 핵심 중 하나는 한국과 미국, 일본 사이의 (군사)정보 공유와 (무기체계의) 상호운용성"이라고 3개국 간의 군사정보 공유 역시 강조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