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한국철강협회는 28일 철강 경쟁력진단 컨설팅과 관련해 주요 회원사와 민간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들을 대상으로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연구용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협회에서는 글로벌 철강공급과잉과 수요 위축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글로벌 관점에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지속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보스톤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지난 5월부터 추진된 컨설팅에서는 포스코, 현대제철 등 협회 주요 회원사가 참여했다.
또한 학계와 연구계로 구성된 업계·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개별기업이 아닌 산업 전체의 관점에서 철강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논의해왔다.
이날 발표된 최종보고서에는 글로벌 철강시장에 대한 수요전망을 바탕으로 철강제품별 경쟁력을 진단하면서 운영 효율성 극대화 및 고부가제품 확대 방안 등이 제시됐다.
컨설팅을 맡은 BCG는 “글로벌 철강수요는 향후 2030년까지 연 1%대의 저성장이 예상되고, 중국이 생산능력을 축소한다고 해도 2020년에 7억~12억t의 조강생산능력 과잉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수요산업의 부진과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글로벌 철강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크게 4개의 제품군으로 분류해 제시했다.
BCG는 먼저 냉연강판 등 판재류는 원가 및 품질경쟁력이 세계 최고수준이나, 향후 미래소재 개발 및 수출기반 확대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후판은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수요 감소로 생산 조정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봉형강은 건설 특수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펀더멘털이 취약하므로 스케일 기반의 수익성 개선과 철강재 안전 규격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관은 다수의 사업자 난립으로 인한 경쟁심화로 기업활력법 등을 통한 기업간의 자발적 재편이 필요하다고 각각 설명했다.
BCG는 “향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밸류체인의 디지털화를 통한 운영효율성을 강화하고 신강종, 신소재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사업재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강협회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비용을 분담해 추진된 이번 컨설팅이 객관적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철강산업의 영향을 분석하고 경쟁력 개선을 위한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협회에서는 글로벌 철강공급과잉과 수요 위축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글로벌 관점에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지속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보스톤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지난 5월부터 추진된 컨설팅에서는 포스코, 현대제철 등 협회 주요 회원사가 참여했다.
또한 학계와 연구계로 구성된 업계·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개별기업이 아닌 산업 전체의 관점에서 철강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논의해왔다.
컨설팅을 맡은 BCG는 “글로벌 철강수요는 향후 2030년까지 연 1%대의 저성장이 예상되고, 중국이 생산능력을 축소한다고 해도 2020년에 7억~12억t의 조강생산능력 과잉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수요산업의 부진과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글로벌 철강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크게 4개의 제품군으로 분류해 제시했다.
BCG는 먼저 냉연강판 등 판재류는 원가 및 품질경쟁력이 세계 최고수준이나, 향후 미래소재 개발 및 수출기반 확대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후판은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수요 감소로 생산 조정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봉형강은 건설 특수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펀더멘털이 취약하므로 스케일 기반의 수익성 개선과 철강재 안전 규격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관은 다수의 사업자 난립으로 인한 경쟁심화로 기업활력법 등을 통한 기업간의 자발적 재편이 필요하다고 각각 설명했다.
BCG는 “향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밸류체인의 디지털화를 통한 운영효율성을 강화하고 신강종, 신소재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사업재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강협회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비용을 분담해 추진된 이번 컨설팅이 객관적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철강산업의 영향을 분석하고 경쟁력 개선을 위한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