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17명의 대원으로 구성된 장보고 기지와 세종기지는 각각 10월 22일과 11월 28일에 기지로 출발한다. 이들은 최대 영하 40도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남극에서 연구 활동과 기지 운영을 위해 약 1년간 기지에서 생활할 예정이다.
대원들은 지난 10월 초부터 해빙안전과 해상생존 훈련, 위치확인 시스템(GPS) 및 무선통신 사용법, 응급 처치, 조난대처법 등 생존에 필요한 이론·실습 훈련을 받았으며, 대원 간 의사소통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훈련도 이수한 바 있다.
이번 파견으로 우리나라는 1988년 2월 제1차 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 파견 이후 지난 30년간 누적 월동연구대원을 539명을 배출했다.
또한, 남극 대륙 테라노바만에 위치한 장보고과학기지는 지난 2014년 준공 이후 천문, 우주, 빙하학 등 대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두 과학기지에는 1년여 간 상주하다 교대하는 ‘월동연구대’와 남극의 여름인 11월~2월에 수시로 파견하는 ‘하계연구대’가 매년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영석 해양수산부장관은 “2014년 장보고과학기지가 준공된 이래 네 번째 월동연구대를 파견하면서 세종과 장보고 등 남극의 기지 2곳을 조기에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라며, “1년여의 월동기간 동안 전 대원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임무를 수행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