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수박 수확 후 병해충 관리가 내년 농사 좌우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19 08: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충북농기원, 병든 식물체 및 잔재물 제거, 토양소독 등 수확 후 관리 당부

▲충북농업기술원은 시설수박을 비롯한 농장 잔재물을 제거한 모습


아주경제 윤소 기자 =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차선세)은 시설수박을 비롯한 박과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들에게 잔재물 제거, 토양관리 등 수확 후 병해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19일 밝혔다.

음성군에서 시설수박을 재배하는 한 농가의 경우 3년 전부터 수박묘를 정식한 직후 토양과 맞닿은 줄기부분이 썩으며 잘록해지고 시들어 죽는 토양전염성 병인 줄기뿌리썩음병으로 매년 15% 정도의 묘 손실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 농가의 경우 수확 후 토양소독과 잔재물을 제거하여 올해에는 피해를 많이 줄일 수 있었다.

시설수박에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는 목화진딧물, 응애류 등은 수박 잎을 가해하는 대표적 해충들이다. 이 해충들은 재배가 끝난 후에도 알이나 성충으로 수확 후 잔재물 등에서 월동을 하기 때문에 수확이 끝난 후에 잔재물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또한 수박 잎에 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 흰가루병도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을 하여 이듬해 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피해를 입은 농가들은 재배가 끝난 후에 병든 식물체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이와 함께 토양전염성 병인 수박 덩굴쪼김병, 검은점뿌리썩음병 등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뿐만 아니라 식물이 없는 상태에서도 수년간 토양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들의 피해가 있었던 농가에서는 재배가 끝나고 토양소독을 하거나 병이 발생되지 않는 작물 등을 심어 관리를 해야 한다.

도 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한종우 연구사는“시설수박은 수확 후 병든 식물체를 제거하고 토양소독을 해 주어야 이듬해 병해충 방제를 쉽게 할 수 있다.”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