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글로벌 은행의 성과주의 제도 운영현황 관련 세미나'에 참석해 이처럼 말했다.
핀테크에 기반을 둔 금융플랫폼 변화, 각종 '페이' 서비스와 P2P 대출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환경에서 은행들이 생존하려면 성과연봉제를 통해 조직에 활기를 불어 넣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진 원장은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과 핀테크에 기반한 금융플랫폼의 변화는 은행의 기존 영업방식에 있어서 일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을 잘하는 사람이 더 나은 보상을 받아야 더 열심히 일할 동기가 부여되고 무임승차자가 없어지면서 조직 전체에 활기가 돌게 될 것이다"며 "업무성과가 보상체계에 적절히 반영되는 공정한 성과연봉제의 도입은 필수적이다"고 밝혔다.
진웅섭 원장은 성과연봉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성과평가체계의 정립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성과평가가 엉터리로 이뤄지고 이를 기초로 보수가 지급되면, ‘성과에 따른 보상’이라고 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직원 누구도 납득을 하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연공제보다 조직 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만족도 같은 다양한 질적 지표와 영업실적 등 계량지표 간 적절한 균형이 이뤄지도록 성과평가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자칫 계량화된 영업실적 지표에만 치우친다면 과도한 외형경쟁, 불완전판매 발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은행을 통한 펀드 판매 시 판매수수료를 운용수수료처럼 매년 나누어 받는 방안 등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 원장은 "금융감독당국도 경영실태평가제도 개선 등을 통해 국내 은행의 성과중심문화 확산을 지원토록 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