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남성 노인, 아내와 함께 살 때보다 자살 위험 2.3배 높아

아주경제 김온유 기자 =  독거 남성노인은 아내와 함께 사는 남성노인보다 자살 위험이 2.3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박보영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교수팀과 권호장 단국대 예방의학과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제5회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2669명(남성 1225명, 여성 1444명)을 대상으로 가족 구성과 관련한 정신건강 상태를 비교하자,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8일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성별에 따라 1인가구와 배우자와 같이 사는 부부가구로 나눴다. 그 결과 남성노인 대부분이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었고 여성노인은 독거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남성노인의 부부가구 비율은 89.3%(194명)를 차지했고 1인가구는 10.7%(131명)로 조사됐다. 여성노인은 부부가구 비율이 55.4%(800명), 1인가구 44.6%(644명)였다.

성별과 가구 형태는 조사 대상의 정신건강 상태에도 영향을 끼쳤다.

연구팀이 분석한 수면시간, 우울감, 자살 생각 빈도 등 정신건강 상태가 남성보다 여성이, 부부가구보다 1인가구가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일례로 자살위험(지난 1년간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독거 남성노인이 아내와 함께 사는 남성노인보다 2.3배 높았다. 부부가 같이 사는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자살위험이 2.04배 늘어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노년기의 독거 생활이 우울감과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보건학적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