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는 31일 정부가 발표한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안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정부는 이날 약 11조원을 투입해 공공선박 발주 및 선박펀드 규모를 늘려 국내 해운업체들이 국내 조선사에 선박을 발주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해운선사들의 신규 선박 발주 지원을 위해 작년 말 발표한 ‘선박 신조 지원프로그램(이하 신조 프로그램)’ 규모를 12억 달러(1조3700억원)에서 24억 달러(2조7000억원)으로 2배로 늘렸으며 지원 대상도 기존 초대형·고효율 컨테이너선에서 벌크선과 탱커선까지 확대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방안이 나온데 대해 해운업체들은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는 반응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현재 해운업황이 부진한 만큼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발주하기는 쉽지 않은 환경”이라면서 “정부가 신조프로그램을 탱커와 벌크선 등으로 확대한 것은 중소형 선사들에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정부가 내놓은 신조프로그램은 부채비율 400%라는 접근장벽이 높아 사실상 무용지물에 가까웠다”면서 “이번에 발표한 방안들은 펀드 접근에 대한 장벽이 없고 터미널 등 자산투자를 지원하고 있어 해운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