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엄수된 고(故) 백남기 농민 영결식에서 추도사를 읽고 있다.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국민의당 '박지원 체제'가 내달 2일까지 연장된다.
국민의당은 7일 오전 1시간 10분 가량 비공개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예산안 통과 법정 기한(12월 2일)까지 비대위원장직을 유임키로 결정했다. 국민의당은 또 박 위원장이 물러난 뒤에는 광주 광산갑이 지역구인 4선 중진 김동철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합의했다. 김 의원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국민의당 간사를 맡고 있어 예산안 심사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됐다.
박 위원장은 지난 6월부터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을 겸임하고 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시국의 엄중함을 감안했을 때 박 위원장이 잠정적으로 유임하는 것으로 결론냈다"며 "이는 한시적 결정이고 대략 예산안 통과가 이뤄지는 12월 2일까지 유임하는 것으로 비대위원 간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손 대변인은 이어 "현재 김 의원은 예결위 간사를 맡고 있어 예산안 심사의 연속성 문제, 당 차원에서의 예산안 심사 협조 관계를 감안했다. 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문제 등 정국을 해결하는데 박 위원장 유임이 필요하다는 게 종합적으로 고려됐다"며 "이 내용은 비대위원뿐 아니라 중진, 초선 의원들 간 여러 차례 협의를 통해 공감대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김 의원은 예산안 통과 뒤부터 내년 1월 15일로 예정된 전당대회까지 한 달 반가량 비대위원장을 역임하게 됐다. 박 위원장이 현재의 국정 공백 사태를 수습하고, 전당대회 준비는 후임인 김 의원이 12월부터 하도록 역할 분담을 했다는 게 국민의당 측 설명이다.
그러나 '최순실 예산 삭감', 법인세 인상, 누리과정(3~5세 무상보육) 등 예결위 쟁점이 산적한 상황에서 법정 기한에 맞춰 예산안이 처리될지는 불투명하다. 예산안 처리가 미뤄질 경우 '박지원 체제'가 보다 길어질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한편, 박 위원장은 전대에서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할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