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 의료급여 혜택을 받는 사람은 매년 2.18% 줄어드는데 반해 병의원에 지불하는 진료비용은 연평균 3.63%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경우 병원 등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생계가 곤란한 환자의 경우 의료급여 비용은 입원일 때는 아예 없고 외래 진료일 경우 최대 2천원 이하여서 무분별한 장기입원과 이 병원, 저 병원을 돌아다니는 일명 의료쇼핑 환자가 줄어들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도는 장기입원환자 1천여 명과 의료쇼핑환자 2천4백여 명 등 총 3960명을 대상으로 올바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병의원 관계자에게는 진료 오남용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당부하는 등 의료급여 사례관리에 집중했다.
특히, 도는 올해 처음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연계해 합동으로 주거와 숙식목적 등 의료 남용행위가 심각한 환자를 대상으로 도내 64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63명을 퇴원시켜 3억3천만 원 이상을 줄였으며, 퇴원 후에 혼자서 생계를 이어가기가 곤란한 환자 33명은 무료양로시설에 입소시키는 등 조치로 총 540명을 퇴원시켰다.
홍민희 경남도 복지복건국장은 지난해에도 진료비 31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바 있다고 말하면서 "입원환자 대다수는 고령으로 바람직한 의료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며, "내년에는 도내 간호과 대학생을 활용해 개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의료급여 사례관리제를 도입해 1대1 상담 기능을 강화해 정확한 의료정보 전달로 적정한 의료 이용을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