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이 대폭 감소한 이유는 2012년에 착공한 북신항의 2개 선석 개발과 배후단지 3공구 조성, 남화물양장 축조 등 대규모 항만인프라 개발사업이 올해 완공됨에 따라 내년의 투자수요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투자수요 감소에 따라 차입규모도 올해 300억 원에서 내년은 100억 원 이내로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도 UPA 예산의 두드러진 특징은 기존 시행중인 사업의 마무리와 함께 고객입장의 항만시설 보강과 기능향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울러 북신항 부두와 배후단지 3공구 준공에 따른 부가가치세 둥 취득제세(110억 원)와 법인세(78억 원), 정부배당(95억 원)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지급할 예산에 총 283억원을 편성했다.
이 밖에 경상적 경비에 110억 원, 인건비에 91억 원, 항만시설 보안관리에 53억원, 정보화시설 확충에 53억원을 계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UPA는 2018년 까지 예산이 감소되다가 오일허브 2단계사업이 본격화되는 2019년부터 예산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PA는 예산심의회를 통해 조정한 1050억 원의 예산을 오는 11월말 항만위원회 상정하게 되고 예산소위원회의 심도 있는 심의를 받은 뒤 12월 중순 내년도 예산을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