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 산업 육성전략 개념도. [자료=국토교통부·환경부]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정부가 기술 중심의 '물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정부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91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을 논의·확정했다.
정부는 우리 물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 물시장으로의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를 대구 산업단지 내에 조성한다. 또 '기술개발-사업화-해외진출'을 원 스톱으로 지원하는 시장지향형 R&D(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R&D 체계를 통해 신속한 인·검증을 실시, 물 산업의 우수기술을 발굴하고 해외진출을 적극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지자체의 우수기술 도입실적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원, 새로운 제품이 시장에 보급·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 해외진출 촉진을 위해 국내외 전담기구를 통한 전방위적 지원을 강화하고, 대·중소기업 및 공공·민간기업의 동반 진출도 확대한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산단 지정 시 하수재이용 여부를 사전 협의하도록 하는 등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을 현재 6.4%에서 2030년까지 34%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2030년까지 약 8조7000억원을 들여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스마트 상·하수도 관리시스템(원격지능형 관리 등)을 구축하고, 이를 도시단위에 적용한 스마트워터시티를 브랜드화해 해외진출을 도모한다.
특히 연안지역의 생활·공업용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물과 에너지가 순환하는 플랜트 모델을 개발한다.
셋째, 정부는 물산업 혁신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물산업 육성 근거 법률을 내년 제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물산업 클러스터 내 물산업 진흥 전담기관, 협력대학원, 창업보육센터 설립 등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창업 지원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