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삼라마이더스(SM)그룹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한진해운의 미주노선 영업망을 인수한다.
1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SM그룹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오는 21일 본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예비입찰에는 현대상선과 SM그룹, 한국선주협회, 한앤컴퍼니, 국내 사모펀드(PEF) 1곳 등 모두 5개 업체가 참여했으나 본입찰에는 현대상선과 SM그룹만 인수제안서를 제출했다.
처음 공고 당시 매각 대상 자산은 선박 5척과 미주-아시아 노선 인력, 7개 해외 자회사 등 1000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법원은 예비입찰 참여 업체에 한해 한진해운의 알짜 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롱비치터미널에 대한 실사 기회를 주고, 원하면 터미널 지분을 인수 대상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롱비치터미널은 롱비치 항만 내 최대 규모인 연간 300만TEU 이상의 화물 처리 능력을 갖췄으며 미국 서부항만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30% 이상을 처리한다. 한진해운은 터미널을 운영하는 미국 자회사인 TTI의 지분 54%를 보유하고 있다.
롱비치터미널의 2대 주주인 스위스 대형 해운사 MSC가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SM그룹은 대한해운과 삼선로직스를 인수한 데 이어 이번에 한진해운 미주 영업권까지 확보해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을 모두 거느린 종합 해운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1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SM그룹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오는 21일 본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예비입찰에는 현대상선과 SM그룹, 한국선주협회, 한앤컴퍼니, 국내 사모펀드(PEF) 1곳 등 모두 5개 업체가 참여했으나 본입찰에는 현대상선과 SM그룹만 인수제안서를 제출했다.
처음 공고 당시 매각 대상 자산은 선박 5척과 미주-아시아 노선 인력, 7개 해외 자회사 등 1000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롱비치터미널은 롱비치 항만 내 최대 규모인 연간 300만TEU 이상의 화물 처리 능력을 갖췄으며 미국 서부항만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30% 이상을 처리한다. 한진해운은 터미널을 운영하는 미국 자회사인 TTI의 지분 54%를 보유하고 있다.
롱비치터미널의 2대 주주인 스위스 대형 해운사 MSC가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SM그룹은 대한해운과 삼선로직스를 인수한 데 이어 이번에 한진해운 미주 영업권까지 확보해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을 모두 거느린 종합 해운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