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17일 서울 정동 민노총 회의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이 같이 의결했다고 밝혔다.
한국 노동조합 역사에서 노조 상급단체가 정권 퇴진을 위한 총파업을 결의하기는 처음이다. 정부 추산 조합원 수가 64만명에 달하는 민노총이 총파업을 벌일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민노총은 "범국민적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요구가 국민의 명령으로 되고 있음에도, 대통령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고 꼼수와 술수로 버티고 있다"며 "버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검찰 조사 요구에 불응하는 등 증거를 은폐하고 조작하는 시간을 벌고 있고,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강행 등 불법 통치행위를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11월 30일 총파업은 국민의 명령을 거부하는 불법 대통령을 국민의 힘으로 직접 끌어내리기 위한 민중항쟁에 민주노총이 앞장서겠다는 것"이라며 "모든 시민이 함께 하는 '국민저항권 행사의 날'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민노총은 30일 총파업을 '정치 총파업'이라고 규정한 뒤 "이는 현행법상 불법파업이지만, 불법 권력이 민주노총의 정의로운 정치 총파업에 불법이라는 딱지를 붙일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고용노동부는 이에 보도참고자료를 내 반대 입장을 밝혔다.
고용부는 "지금 우리 경제는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 조선·해운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내수 부진 등으로 큰 위기에 직면했다"며 "민노총은 지금이라도 본인들도 불법이라 인정한 총파업의 중단을 선언하고, 합법적 방법을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주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