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가 지난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 등 중진의원들이 참석해 열리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이 모임의 대변인을 맡고 있는 황영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황 의원은 “어제 야당이 탄핵소추안 상정일을 두고 혼란이 있었는데 비시국의 원칙은 변함이 없다”며 “(탄핵소추일은) 예정대로 9일로 잡고 그 전인 7일까지 국회에서 합의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3차 담화는 여러 아쉬운 점이 있지만 국회에서 퇴진일자 등을 결정해 대통령에게 요구할 수 있다”며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그것을 거부하면 탄핵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황 의원은 비시국이 제안한 협상에 동의하지 않고 탄핵을 고수하고 있는 야당을 겨냥하기도 했다.
황 의원은 “현재 국회에서는 아무것도 합의하려 하지 않고 있다”며 “야당은 왜 이 문제에 대해 합의에 나서지 않는지 이해하기가 힘들다”고 지적했다.
또 “3차 담화문에서는 대통령이 현 사태를 바라보는 인식이 국민의 뜻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퇴임 입장과 관련해 명확한 시기를 못 박지 않은 것에 대한 의심이 존재한다”고 거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퇴진일자를)넘기기 보다 대통령 스스로 명확하게 입장을 밝혀주는 것이 이 문제를 푸는 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며 “퇴진일자 결정과 동시에 모든 국정을 총리에 넘기고, 퇴임을 기다리는 역할을 명확한 2선 후퇴의 모습을 천명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황 의원은 “비시국이 지금까지 일관되게 가져온 입장인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9일 탄핵표결에 동참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7일까지 청와대가 비시국이 요구하는 퇴진일자를 수용하더라도 야당이 협상안에 반대할 경우에 대해선 언급을 자제했다.
황 의원은 청와대와의 협상에 성공하더라도 야당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 대해선 “발생하지도 않은 상황을 가정해 지금 대답하기엔 곤란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