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을 활요한 공사 감리 업무 수행 모습 예시[이미지=금천구청 제공]
아주경제 오진주 기자 = 서울 금천구가 전국 최초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공사감리 업무를 도입한다.
금천구는 지난달 29일 서울시건축사회·금천구건축사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공사감리 스마트워크’를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공사감리 스마트워크는 서울특별시건축사회가 개발한 스마트감리앱인 ‘아키엠’을 활용한다. 아키엠은 감리업무를 기존의 수기 방식이 아닌 모바일 플랫폼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아키엠은 53개 표준 검측 체크리스트가 내장돼 있어 종이 서류 없이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분류·저장해 공사 부위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작성된 내용은 실시간으로 공사관계자 사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저장된 기록은 사후 수정이 불가능해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가 끝난 후에는 시공 현황을 재현해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기존의 수기 방식은 방대한 체크리스트 분량과 공사 사진첩 및 감리일지 작성 등 과도한 업무량으로 부실 감리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았다.
구는 우선 자체 발주하는 공공건축 현장에 스마트워크를 적용한다. 6개월 동안의 시범 운영기간을 거쳐 최종 평가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차성수 금천구청장은 “이제 건축물의 감리는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이번 협약으로 건축공사 감리제도가 스마트 혁신 시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