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기간 기업 활동과 소비자 지출이 약화할 수 있다"며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 결정을 연기하면서 국내총생산(GDP) 성장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이어 "이는 (국가) 신용도에 부정적이고, 단기적으로 정책 효율성도 악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또 탄핵 정국으로 한국의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이미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올해 2.7%에서 내년 2.5%, 2018년 2.0%로 전망한 바 있다"먼서 이 전망치도 하향 조정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아울러 무디스는 "헌법재판소가 박 대통령의 탄핵안 인용 여부를 결정하기까지 최장 180일이 걸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회가 지난 3일 예산안을 처리한 것처럼 "필수적인 법안은 계속 국회에서 통과될 것"이라며 "한국 제도가 순조롭게 제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또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금융 안정성 확보에 큰 성과를 거둬 왔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치적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경제 영향에 대처하는데 재정 여력도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기준 정부 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38%에 그쳤고, 외채 부담도 크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