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지주전환 접는다 "TF 해체"

아주경제 서동욱 기자 = 한국거래소가 지주 전환을 추진하면서 만든 경쟁력 강화 테스크포스(TF)를 해체하고, 내부조직 정비에 나섰다.

지주 전환을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국회를 통과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20일 안상환 한국거래소 경영지원본부장(부이사장)은 "이달 말 또는 내년 1월로 예정된 정기인사와 조직개편을 통해 경쟁력 강화 TF를 해체하고, 파견돼 있던 구성원에 대해서도 새로 발령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TF는 2015년 거래소가 자본시장법 개정을 위해 신설했었다. 회사 내부적으로 지주 전환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역할도 맡아 왔다. TF 산하에는 법규정보팀, 지주전환팀, 분할회계팀, 기업공개(IPO)추진팀이 있고, 총 인원은 18명에 이른다.

지주 전환과 IPO는 전·현임 이사장에 걸친 숙원사업이었다. 거래소는 출범 당시부터 핵심 인력만 뽑아 TF에 파견했다.

하지만 거래소 노조 측은 꾸준히 지주 전환에 반대해왔다. 노조는 "경쟁력 강화 TF는 탁상공론으로 자본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며 "TF를 즉각 해체해야 한다"는 성명을 내놓기도 했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현 정부에서 추진하던 자본시장법 개정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며 "추진 동력이 사라진 상태"라고 말했다.

정찬우 신임 거래소 이사장이 금융권 비선실세로 지목된 것도 지주 전환을 밀어붙이기 힘들어진 이유다.

거래소에 내정됐을 당시부터 낙하산 논란을 일으켰던 정 이사장은 친박 실세로 금융당국이나 유관협회, 주요 시중은행 인사를 좌지우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주 전환을 철회한 거래소는 내부조직 개편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앞서 15일 정 이사장은 상무급 임원 가운데 코스콤에서 파견된 인원 1명을 뺀 14명 전원에게 잔여임기와 관계없이 일괄 사표를 받았다. 이 가운데 8명은 사표가 수리됐다. 이어 신임 본부장보 3명을 임명해 상무급 임원 수를 15명에서 10명으로 줄였다. 임원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도 이번 인사에 반영됐다.

거래소는 부서 통폐합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약 130개에 달하는 팀 가운데 10개가 사라지거나 합쳐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