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정국에 주도권 다툼 격화하는 野 대선주자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야권의 대선주자들이 조기 대선을 겨냥해 주도권 경쟁에 나선 모양새다. 다른 야권 대선주자들의 '문재인 때리기'도 이어지고 있다. 야권이 탄핵 정국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할 시기에 대선 주자 간 주도권 다툼이 가열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는 20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겨냥해 "정치인을 이벤트로, 화제성으로만 평가한다면 우리는 다음에 또 콘텐츠 없는 지도자를 뽑을 수밖에 없게 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문 전 대표의 '혁명' 발언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날을 세운 것이다.

안 전 대표는 그러면서 "지난 11월 비폭력 평화 혁명에서 나타난 민심은 대한민국을 상식과 정의의 나라로 바꿔달라는 것"이라며 "이제는 어떤 분야를 어떻게 바꾸겠다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각자 제시하고 공론화해야 한다. 국민이 그중에서 선택을 하고 여론이 모이는 방법으로 개혁이 진행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면 그다음엔 혁명밖에 없다"고 발언해 다른 잠룡들의 비판을 한 몸에 받았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문 전 대표의 발언을 두고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청구가 헌재에서 기각돼도 헌법의 틀과 질서 안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반박했고, 박원순 서울시장도 "역동적인 경선을 하지 않으면 민주당이 승리할 수 없다"면서 문 전 대표에 대한 견제 움직임을 본격화했다. 

야권 주자들은 또 '개헌'을 고리로도 치고 받는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대선 주자들이 개헌 공약을 하도록 해 다음 정권에서 개헌을 진행해야 한다는 문 전 대표와 대선 전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는 김부겸 의원 등으로 나뉘어 논쟁이 펼쳐지는 모습이다.

문 전 대표에게 "개헌에 앞장서달라"고 공개 편지를 보냈던 김 의원은 이날도 "여야 정치권이 정파적 이해를 넘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국가 개조를 위한 지방 분권 개헌에 합의하기를 요청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의 행보도 주목되고 있다. 김 전 대표가 개헌론자들과 접촉면을 넓히고 있는 것은 야권의 유력 주자인 문 전 대표를 견제하면서 개헌을 고리로 한 정계개편론에 계속 불을 지피려는 의도로 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