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실효성 없는 AI 대책만 내놔…'계란 대란' 장기화할 듯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22 1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김선국·박성준 기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역대 최악의 피해가 점쳐진 가운데 '계란 대란'이 현실화됐다.

정부가 항공기로 신선란을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민간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실효성 낮은 대책'이라는 비난을 쏟고 있다. 

22일 방역당국과 양계협회에 따르면 올해 발생한 H5N6형 바이러스로 산란계 농장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이날 현재 2200만 수가 넘는 가금류가 처분됐다. 이는 전체 사육수의 3분의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특히 국내 계란 공급량은 평상시 대비 약 30%이상 감소했고, 사육중인 산란종계의 약 40%가 처분돼 '계란 대란'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계란의 공급물량은 하루 4200만개에서 최근 3300만개 수준으로 급감했다. 제과류와 가공식품의 소비가 많은 연말인 만큼 계란의 공급부족 현상은 가격의 폭등으로 이어졌다.

대형마트의 가격정보를 종합해보면 지난달 특란 한판(30개) 가격은 평균 5500원대에 머물러 있었다. 이후 12월 초부터 매주 가격이 오르면서 이날 현재 7000원대로 형성됐다. 한달 만에 25%이상 증가한 것이다.

가격의 인상에도 계란 품귀현상이 지속되자 대형마트들은 '1인당 계란 한판'으로 판매제한 조치에 나섰다. 농식품 전문 유통업체인 농협 하나로클럽의 경우, 매일 오후 3시를 기점으로 일일 계란 공급량의 80% 이상이 소진된다. 

정부는 수급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계란수입을 검토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미국·캐나다·스페인·호주·뉴질랜드 등 5개 AI 청정국에서 신선란을 직접 들여오는 방안을 추진하고, 항공운송비 지원이나 일시적인 관세 인하 혜택 등을 검토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논의에 착수했다.

농식품부는 관계자는 "통상 겨울은 달걀 공급과 소비가 모두 감소하는 비수기로, 방학이 시작되면 학교 급식에 쓰이는 달걀 수요가 줄어 당장 수급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비싼 수입 신선란 가격과 항공운임, 계란 소비량 등을 고려하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현실과 거리가 먼 대책이라고 지적한다.

정부가 수입국으로 검토 중인 5개국의 신선란 가격 자체가 우리나라보다 월등히 비싸기 때문이다.

계란 수입이 가능한 국가의 계란 평균값은 미국 434원, 호주 402원, 스페인 399원, 뉴질랜드 482원, 캐나다 345원 등이다. 

지난해 국내 특란 한 알당 평균 146원이었고 가격이 급등한 현재도 192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들 국가의 신선란 가격은 최대 3배 이상 비싸다.

정부가 27%인 할당 관세를 면제해도 가장 저렴한 캐나다산 계란 한 판(30알) 가격이 1만원을 넘는다. 여기에 한번에 항공기로 계란을 들여오는 데 순수 운임료가 많게는 수십억원이 들 것으로 양계협회는 추정하고 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극히 제한된 국가에서 비행기로 들여올 경우 운송료 때문에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이라며 "수입시기도 명확하지 않고, 수입에 필요한 각 행정절차를 거칠 경우 상당기간이 소요된다"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