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여옥, 부적절한 약장 패용 논란…대체 '약장'이 뭐길래?

조여옥 대위[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최승현 기자 =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 간호장교로 근무한 조여옥 대위가 국회 청문회 출석 당시 부적절한 약장(略裝)을 패용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 약장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약장은 훈장이나 포장, 기타 장관급 이상의 표창이나 특정 전투에 참전했을 때의 기념 표식 등을 요약해서 옷에 부착하는 휘장을 의미하며, 제복에 달린 약장을 통해 군인의 이력과 경력을 알 수 있다.

조여옥 대위는 지난 22일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증인 자격으로 국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조 대위는 녹색 상·하의 정복 차림으로 왼쪽 가슴에 약장 3개를 단 채 출석했다. 3개의 약장은 '적십자기장' '건군 50주년 장' '6·25 전쟁 40주년 장'이었다.

적십자기장은 적십자회비를 내는 국군 간부라면 누구나 패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가 된 것은 건군 50주년 장과 6·25 전쟁 40주년 장이었다. 건군 50주년 장은 1998년 8월 15일 기준으로 10년 이상 복무한 군인과 공무원에게 패용 자격이 주워지며, 6·25 전쟁 40주년 장 역시 1990년 9월 25일 기준으로 장기하사(일반하사) 이상 현역 군인으로 복무한 간부가 아니면 패용이 불가능한 휘장이다.

조 대위는 국군간호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2011년 육군 소위로 임관했기 때문에 두 가지 약장 모두 패용할 수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