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백신생산 대행 기관 구축에 5년간 1865억원 투입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정부가 1800여억원을 투입, 백신 생산 대행기관을 만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백신 산업 육성과 글로벌 바이오 시장 진출을 촉진하고자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을 설립해 국제 규격의 시설을 갖춘 백신 생산 대행기관을 구축한다고 24일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부터 5년 간 1865억원을 들여 경북 안동시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전남 화순군 '미생물실증지원센터'등 대행기관 두 곳을 건립할 예정이다.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동물 세포 배양, 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미생물 배양을 기반으로 백신을 개발하게 된다.

백신은 어떤 감염증에 대해 인공적으로 면역을 얻기 위해 약화하거나 죽인 미생물을 이용해 만든 의약품이다. 천연두, 소아마비, 홍역 등 치료에 효과적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수요 증가와 개발도상국의 백신 접종률 상승으로 세계 백신 시장은 앞으로 10년간 매년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고도의 기술력과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데다가 개발에 오랜 시간이 필요해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은 투자위험을 줄이고자 생산설비를 자체적으로 만들기보다는 생산대행업체를 활용해 생산 부문을 대체하고 연구개발과 판매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제 수준의 백신 생산 대행시설이 구축되면 국내 기업들의 시설투자 부담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시장 진입 시간이 단축돼 세계 시장 진출이 그만큼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