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9일 발표한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을 보면 지난해 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은 국산과 수입이 모두 증가해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했다. 2013년 4분기 4.4% 증가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국산은 기계장비·1차 금속 등의 호조로 2.8%, 수입은 전자제품·기계장비 위주로 늘어 5.5% 각각 증가했다.
최종재 국내공급도 4.9% 늘었다. 수입은 13.7%, 국산은 1.0% 증가했다.
최종재 중 소비재는 프로판가스·화장품 등의 증가로 0.9% 늘었고, 자본재는 평판디스플레이제조장비·반도체 공정 장비 등이 증가하며 11.3% 늘었다.
중간재도 국산(3.8%), 수입(1.0%)이 모두 늘어 2.9%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13.3%), 1차금속(6.3%), 화학제품(4.5%) 등은 증가했다. 반면 기타운송장비(-16.8%)는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큰 폭(-6.3%)으로 감소했던 자동차 공급은 신차 효과나 정부의 폐차 지원으로 국산이 1.1% 증가하면서 0.1% 증가했다. 다만 수입은 수입인증서류 조작 사건 등의 영향으로 5.0% 줄어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6%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기타운송장비가 13.8%포인트, 전자제품이 6.2%포인트, 나무제품이 2.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석유정제는 4.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연간 국내공급은 국산(1.0%)과 수입(1.6%)이 모두 증가해 2015년보다 1.2% 늘었다. 최종재와 중간재 국내공급은 각각 전년보다 1.6%, 1.0% 증가했다.
작년 연간 수입점유비는 30.4%로 전년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기타운송장비, 나무제품, 전자제품의 수입점유비는 올랐지만 화학제품과 정유정제 등에서 하락했다.
통계청은 반도체 수요가 호조를 보여 관련 시설 투자가 늘었고, 기계장비 수요도 증가해 전체 제조업 공급 증가세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