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4월부터 '디지털 모기 계측기' 10곳 설치‧운영

  • 수집 테이터, 방역 자료 활용

학성배수지에 설치된 디지털 모기 측정기. [사진=울산시]


아주경제 울산 정하균 기자 = 울산시는 '디지털 모기 자동 계측기'를 설치, 4월부터 본격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설치 지역은 중구 태화주민센터 주변 등 모두 10곳이다.

이 계측기는 입구에 적외선 감지센스가 부착돼 있어 포집기 안으로 모기가 들어 올 때마다 모기 개체 수를 자동 집계하고 집계된 수치는 무선데이터 방식으로 발송한다.

여기서 수집된 데이터는 DMS.Net(디지털 모기 발생정보 시스템)의 모기 개체 분석을 통해 방역 활동의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성충 암 모기는 산란하기 위해 사람과 동물을 흡혈하고 1회에 약 150마리 정도의 알을 산란하고 있어 성충 암 모기를 유인하여 포집·박멸함으로써 자연친화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고 울산시는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계측기 확충은 물론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주민들이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방제 활동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