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남성 무급가족종사자는 15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000 명(11.7%) 증가했다.
이는 금융위기가 세계를 강타한 2007년 2분기 2만 명(12.8%) 증가한 이후 9년여 만에 가장 큰 것이다.
무급가족종사자는 같은 가구 구성원 중 한 명이 경영하는 음식점이나 회사 등 사업체에서 보수를 받지 않고 일하는 사람을 말한다.
남성 무급가족종사자는 지난해 2분기 1.6% 증가한 이후 3분기 1.9%, 4분기 6.9% 등 증가하는 등 4분기 연속 증가 폭이 커지면서 더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남성 무급가족종사자의 급증은 경기 불황에도 계속되는 자영업자 증가세와 높은 청년 남성 실업률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구조조정 등 경기한파로 고용시장에서 내몰린 실업자들과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소규모 창업으로 몰리면서 자영업 경기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실제 2015년 기준 연 매출 1200만∼4600만원 미만인 자영업자 비중은 30.6%로 가장 컸고 1200만원 미만 자영업은 21.2%에 달했다. 자영업자 과반의 월평균 매출이 383만원 미만이라는 의미다.
지난해에는 청탁금지법까지 겹치면서 음식·숙박업의 체감 경기는 최악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지난 1분기에만 자영업자가 17만명이나 늘어나는 등 증가세가 계속되면서 자영업 시장의 출혈 경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성 무급가족종사자의 증가세 확대는 최근 자영업자가 계속 늘고 있는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