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증권제도 경제적 가치 5년간 9045억원"

전자증권제도 도입으로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가 5년간 9045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장혜윤 삼일회계법인 이사는 28일 오전 한국예탁결제원 주최로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전자증권제도 도입과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 이사는 "전자증권제도 도입으로 증권 위·변조에 따른 위험비용 및 권리행사 기간 단축에 따른 기회비용이 감소하면서 투자자가 얻는 직접적 기대효과가 5년간 5811억원(64% 증가)으로 나타났다"며 "전자증권제도 도입에 따른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는 도입 이후 연평균 1809억원, 5년간 9045억원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발행회사는 발행 기간과 권리행사 기간 단축으로 2619억원(22%), 정부와 감독 당국, 전자등록기관은 투명성 증대 효과로 1443억원(11%)의 가치를 얻을 것으로 분석했다.

장 이사는 또 기간 단축에 따른 순이익 증가와 재투자 수익 등으로 얻을 수 있는 간접적 효과는 1조3940억원으로 내다봤다. 세금 증대와 산업 연관 효과 등이 더해진 사회적 파급 효과는 2조3391억원에 달할 것으로 장 이사는 추정했다. 

장 이사는 "전자증권제도는 증권 관련 업무의 디지털화, 시장에 참여하는 경제주체들의 상호연결성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자본시장 인프라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