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천대 길병원 인공지능암센터가 IBM 암진단 인공지능(AI) ‘왓슨 포 온콜로지’를 이용해 대장암 환자를 진단하고 있다. [사진=길병원 제공]
의료진과 인공지능(AI)이 판단한 암환자 치료법 의견 일치율이 1년새 7%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가천대 길병원 인공지능암센터는 5일 인천 남동구에 있는 가천대 의과대학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1년간의 IBM 암진단 AI ‘왓슨 포 온콜로지(이하 왓슨)’ 성과를 발표했다.
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센터 개소 이후 올 11월까지 암환자 557명이 AI 진료를 받았다. 대장암 중 결장암 환자 118명에 대한 의료진 판단과 왓슨이 ‘강력 추천’한 치료 방침 일치율은 55.9%로 집계됐다.
앞서 실시한 후향적 연구의 48.9%보다 7%포인트 높은 결과다. 후향적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 사이 결장암 환자 6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다.
왓슨이 ‘추천’으로 제시한 치료 방침까지 포함하면 의견 일치율은 78.8%로 올라갔다.
왓슨은 환자 영상자료 등을 입력하면 과거 치료 사례를 비롯해 선진국 병원 자체 문헌과 의학지 290종, 교과서 200종 등을 바탕으로 치료법을 제시한다. 치료법은 △강력 추천 △추천 △비추천으로 나뉜다. 의료진은 이중 강력 추천과 추천이 실제 환자에게 권장한다.
백정흠 외과 교수는 “의견 일치율이 상승한 것은 의료진이 왓슨 의견에 동조했다는 것”이라면서 “일부지만 전문가 집단에서 인공지능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AI를 이용한 다학제진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길병원 인공지능암센터는 주치의를 포함한 의사 5~6명과 왓슨 의견을 종합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왓슨암다학제’를 운영 중이다. 센터가 10월 26일부터 이달 1일까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왓슨암다학제 진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94%에 달했다.
이언 길병원 인공지능병원추진단장은 “왓슨암다학제는 환자별로 최대 180분간 진료하고, 수많은 환자 사례를 바탕으로 진료 방침을 정해 환자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AI 진료는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어 환자의 의료비 부담도 줄어든다”면서 “정부에 AI 다학제 허용을 제안해 놓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왓슨은 지난 12월 길병원이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이후 부산대병원·건양대병원·계명대 동산병원·대구가톨릭대병원·조선대병원·전남대병원에서도 들여와 AI 진료를 시행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