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기업 상장에 깐깐한 잣대 고수하는 거래소

한국거래소가 중국계 기업 상장에 깐깐한 잣대를 고수하기로 했다. 부실기업 상장을 막는 것이 시장 활성화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23일 거래소에 따르면 상장예비심사를 받고 있는 중국계 기업은 현재 단 한 곳도 없다. 거래소가 중국계 기업 상장을 주관하는 우리 증권사에 증치세 증빙을 요구해서다. 이런 영향으로 상장 시도 자체가 줄었다. 코스닥에 얼마 전 상장한 컬러레이는 증치세를 확인한 유일한 중국계 기업이다.

증치세는 부가가치세와 비슷하다. 거래소는 증치세를 확인해야 재무제표를 신뢰할 수 있다고 본다. 그렇지 않고서는 회계 투명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런 이유로 1년 전부터 증치세를 확인한 중국계 기업만 상장을 허가하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기업이 세금을 냈다고 주장해도 과세당국 홈페이지에서 증치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며 "이를 설명할 수 없다면 상장도 승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코스닥 부양책에 맞춰 해외기업 상장 문턱이 낮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거래소 상장 요건이 정권에 따라 바뀌어온 것도 사실이다. 최경수 전 거래소 이사장 시절인 2016년에는 중국계 기업 6곳이 한꺼번에 상장하기도 했다.

중국계 기업 상장이 어려워졌지만 국적 다변화 기대감은 커졌다. 거래소는 해외기업 유치를 위해 외국에서 꾸준히 설명회를 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미국이나 베트남, 인도네시아에도 우리 증시에 관심을 가진 기업이 있다"며 "올해에는 일본 기업 상장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 증권사와 상장주관계약을 맺은 일본 기업은 SNK코퍼레이션(NH투자증권), 에이산(신한금융투자), JTC면세점(삼성증권) 세 곳이다.

한현석 서울IR 대표는 "국내 증권사와 상장주관계약을 체결한 중국 기업도 지금 50여곳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실적이 괜찮은 3~5곳은 올해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기업이 모두 부실한 것은 아니다"라며 "과거 몇몇 사건으로 만들어진 나쁜 이미지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