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농부가 우리밀 농사에 전념하고 있다. [사진=충남도제공]
충남도가 소비량은 쌀에 버금가지만, 국내 자급률은 2%에도 못 미치는 밀의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30일 도에 따르면 밀은 2016년 기준 국민 1인당 연간 32.1㎏을 소비, 쌀(61.9㎏) 다음으로 소비가 많아 ‘제2국민주식’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자급률은 1.8%에 불과해 나머지는 수입 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내 밀 재배 면적은 전국의 1.1%로, 생산 기반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내 밀 생산 농가는 그동안 이웃 지역에서 농기계 또는 시설을 임차하고, 종자 확보, 파종 및 수확, 건조 등의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어 왔다.
도는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편 국산 밀 자급률을 제고하기 위해 올해 도내 밀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우리밀 생산 지원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생산 장려금 및 시설장비 지원에 1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40㎏ 한 포대당 일반 밀은 5000원, 친환경 인증 밀 확대를 위해 무농약은 7000원, 유기농은 1만원의 생산 장려금을 지원한다.
후작으로 콩이나 메밀 등 타작물을 경작하는 농가를 우선적으로 지원해 쌀 적정 생산을 유도키로 했다. 밀 생산 기반 조성을 위한 시설장비로는 클라스 콤바인과 정선기, 건조기, 저온저장고 등을 지원한다.
시설장비 지원은 1㏊당 200만원을 지원하는 시·군 단위 사업과, 도내 밀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광역 단위 사업으로 추진한다.
광역 단위 사업은 밀 생산 법인에 대규모 시설장비를 지원한 뒤, 소규모 생산 농가와 공동 사용토록 유도하는 것으로, 밀 생산 주체가 부족한 자원을 서로 보완해 가며 협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지흥 도 친환경농산과장은 “충남은 밀 산업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상황”이라며 “이번 지원은 생산 기반 확충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밀 산업 활성화와 먹거리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