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이 4일 오후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을 갖고 국회 정상화 방안을 모색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남북 정상회담 비준과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특별검사 도입을 둘러싼 이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 의장과 우원식 더불어민주당·김성태 자유한국당·김동철 바른미래당·노회찬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의장 집무실에 모여 국회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지만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채 연휴 기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정 의장은 앞서 모두발언에서 "절박한 심정으로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고 면목이 없다"고 했다. 이어 "네 분 원내대표께 정말 호소한다. 이제 늦었지만 국회를 정상화하자"고 부탁했다.
정 의장은 "이건 제 말이 아니라 국민의 목소리다. 국민 목소리를 제가 대신 말했다"며 "정말 지혜를 모아보자"고도 했지만, 1시간 30여분간 논의 끝에 파행했다. 정 의장은 원내대표들이 나오기 전 굳은 얼굴로 집무실을 빠져나왔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국회의장이 저렇게 단호하게 얘기하시니까 일단 저는 단식을 풀어라 이렇게 얘기했다"며 "논의를 하다가 갑자기 단식에 들어가서 이건 협상에 임하는 자세 아니라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휴 중에 좀 더 논의하자 이런 정도로만 얘기했다"고 말했다.
단식 이틀째를 맞은 김 원내대표는 '특단의 조치'를 언급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은 독자적인 판단보다는 당청 간의 입장 조율이 필요한 것 같다"며 "이 상황을 절대 오래 가지고 가지 않겠다. 나도 민주당과 청와대가 조속한 판단을 하지 않는다면 특단의 발표를 하겠다"고 했다.
이어 "대책없이 그냥 자신들 만의 국정 일정과 사안으로 야당을 늘 패싱했다. 더이상 저희는 그런 시간끌기 전략에 응하지도 않을 것이고 더이상 당하지도 않겠다"며 "민주당과 청와대가 조속한 입장정리가 안되면 특단의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특단의 입장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두 원내대표 모두 구체적인 논의 사항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