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김병욱 국회의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국회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평균 금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14개 은행의 평균 금리는 3.04%로 나타났다.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전북은행으로 4.41%에 달했다. 가장 낮은 곳은 국민은행으로 2.95%였고, 두 은행의 격차는 1.5%p로 국민은행에 비해 전북은행이 49.5%가 높았다.
2016년 이후 올해 8월까지 평균으로는 전북은행의 금리가 4.06%로 가장 높았고 하나은행이 2.94%로 가장 낮았다. 두 은행의 금리 격차는 1.1%p였으며 전북이 하나에 비해 38.1% 높았다.
은행이 대출 금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개입하지 않지만 공사 홈페이지와 은행연합회 등 유관기관에 평균 대출금리를 주별, 월별로 게시하고 있다.
은행 이용자들 또한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포함해 해당 은행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각종 혜택이나 조건 등을 종합해 대출받을 은행을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해서, 같은 보증서인데도 은행별로 최고 50% 가까이 금리가 차이나는 것은 전세자금 대출자들에게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고, 은행별 금리 차이를 알지 못하고 관성에 따라 평소 이용하는 은행에서 전세자금을 대출받을 경우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김병욱 의원은 "은행별로 최고 50%나 높은 금리를 받고 있는 만큼, 전세자금 대출 이용자들은 대출 신청 전에 꼭 은행별 금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받는 은행에 대해 꼼꼼히 점검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